연습장
17. this 본문
this | PoiemaWeb
자바스크립트의 this keyword는 Java와 같은 익숙한 언어의 개념과 달라 개발자에게 혼란을 준다. Java에서의 this는 인스턴스 자신(self)을 가리키는 참조변수이다. this가 객체 자신에 대한 참조 값을
poiemaweb.com
자바스크립트의 함수는 호출될 때, 매개변수로 전달되는 인자값 이외에, arguments 객체와 this를 암묵적으로 전달 받는다.
Java에서의 this는 인스턴스 자신(self)을 가리키는 참조변수이다.
this가 객체 자신에 대한 참조 값을 가지고 있다는 뜻이다.
주로 매개변수와 객체 자신이 가지고 있는 멤버변수명이 같을 경우 이를 구분하기 위해서 사용된다.
Java 코드의 생성자 함수 내의 this.name은 멤버변수를 의미하며 name은 생성자 함수가 전달받은 매개변수를 의미한다.
하지만 자바스크립트의 경우 Java와 같이 this에 바인딩되는 객체는 한가지가 아니라 해당 함수 호출 방식에 따라 this에 바인딩되는 객체가 달라진다.
함수 호출 방식과 this 바인딩
자바스크립트의 경우 함수 호출 방식에 의해 this에 바인딩할 어떤 객체가 동적으로 결정된다.
다시 말해, 함수를 선언할 때 this에 바인딩할 객체가 정적으로 결정되는 것이 아니고,
함수를 호출할 때 함수가 어떻게 호출되었는지에 따라 this에 바인딩할 객체가 동적으로 결정된다.
1. 함수 호출
전역객체(Global Object)는 모든 객체의 유일한 최상위 객체를 의미한다.
일반적으로 Browser-side에서는 window, Server-side(Node.js)에서는 global 객체를 의미한다.
기본적으로 this는 전역객체(Global object)에 바인딩된다.
전역함수는 물론이고 심지어 내부함수의 경우도 this는 외부함수가 아닌 전역객체에 바인딩된다.
메소드의 내부함수일 경우에도 this는 전역객체에 바인딩된다.
콜백함수의 경우에도 this는 전역객체에 바인딩된다.
내부함수는 일반 함수, 메소드, 콜백함수 어디에서 선언되었든 관게없이 this는 전역객체를 바인딩한다.
내부함수의 this가 전역객체를 참조하는 것을 회피방법은 아래와 같다.
전역함수 -> 전역객체 this
내부함수 -> 전역객체 this
2. 메소드 호출
함수가 객체의 프로퍼티 값이면 메소드로서 호출된다.
이때 메소드 내부의 this는 해당 메소드를 소유한 객체, 즉 해당 메소드를 호출한 객체에 바인딩된다.
프로토타입 객체도 메소드를 가질 수 있다. 프로토타입 객체 메소드 내부에서 사용된 this도 일반 메소드 방식과 마찬가지로 해당 메소드를 호출한 객체에 바인딩된다.
Person.prototype 이 getName 을 가지고 있으므로 this.name 은 Kim 이 나올거 같지만
메소드는 호출한 객체를 따라가기 때문에 me 객체가 Person.prototype 의 getName 를 가져다 사용하더라도 this 는 me 객체를 가리킨다.
메소드 -> 호출한 객체 this
3. 생성자 함수 호출
자바스크립트의 생성자 함수는 말 그대로 객체를 생성하는 역할을 한다. 하지만 자바와 같은 객체지향 언어의 생성자 함수와는 다르게 그 형식이 정해져 있는 것이 아니라 기존 함수에 new 연산자를 붙여서 호출하면 해당 함수는 생성자 함수로 동작한다.
이는 반대로 생각하면 생성자 함수가 아닌 일반 함수에 new 연산자를 붙여 호출하면 생성자 함수처럼 동작할 수 있다.
따라서 일반적으로 생성자 함수명은 첫문자를 대문자로 기술하여 혼란을 방지하려는 노력을 한다.
3.1 생성자 함수 동작 방식
new 연산자와 함께 생성자 함수를 호출하면 다음과 같은 수순으로 동작한다.
1. 빈 객체 생성 및 this 바인딩
생성자 함수의 코드가 실행되기 전 빈 객체가 생성된다. 이후 생성자 함수 내에서 사용되는 this는 이 빈 객체를 가리킨다. 그리고 생성된 빈 객체는 생성자 함수의 prototype 프로퍼티가 가리키는 객체를 자신의 프로토타입 객체로 설정한다.
2. this를 통한 프로퍼티 생성
생성된 빈 객체에 this를 사용하여 동적으로 프로퍼티나 메소드를 생성할 수 있다.
this는 새로 생성된 객체를 가리키므로 this를 통해 생성한 프로퍼티와 메소드는 새로 생성된 객체에 추가된다.
3. 생성된 객체 반환
반환문이 없는 경우, this에 바인딩된 새로 생성한 객체가 반환된다. 명시적으로 this를 반환하여도 결과는 같다.
반환문이 this가 아닌 다른 객체를 명시적으로 반환하는 경우, this가 아닌 해당 객체가 반환된다.
이때 this를 반환하지 않은 함수는 생성자 함수로서의 역할을 수행하지 못한다.
따라서 생성자 함수는 반환문을 명시적으로 사용하지 않는다.
생성자 함수는 반환문을 사용하지 않아야 하며, 이때 this 는 새로 생성한 객체에 바인딩 된다.
3.2 객체 리터럴 방식과 생성자 함수 방식의 차이
객체 리터럴 방식과 생성자 함수 방식의 차이를 비교해 보자.
객체 리터럴 방식과 생성자 함수 방식의 차이는 프로토타입 객체([[Prototype]])에 있다.
- 객체 리터럴 방식의 경우, 생성된 객체의 프로토타입 객체는 Object.prototype이다.
- 생성자 함수 방식의 경우, 생성된 객체의 프로토타입 객체는 Person.prototype이다.
객체 리터럴 내부에서는 this가 의미가 없습니다.
3.3 생성자 함수에 new 연산자를 붙이지 않고 호출할 경우
생성자 함수를 new 없이 호출한 경우, 일반함수와 유사하게 동작한다.
따라서 함수 Person 내부의 this는 전역객체를 가리키므로 name은 전역변수(window)에 바인딩된다.
일반함수와 생성자 함수에 특별한 형식적 차이는 없기 때문에 일반적으로 생성자 함수명은 첫문자를 대문자로 기술하여 혼란을 방지하려는 노력을 한다.
이러한 위험성을 회피하기 위해 사용되는 패턴(Scope-Safe Constructor)은 다음과 같다. 이 패턴은 대부분의 라이브러리에서 광범위하게 사용된다.
대부분의 빌트인 생성자(Object, Regex, Array 등)는 new 연산자와 함께 호출되었는지를 확인한 후 적절한 값을 반환한다.
this 는 새로 생성되는 객체 a 이고 instanceof 를 통해 arguments.callee == A 의 인스턴스인지 확인한다.
b 의 경우 new 를 사용하지 않았기 때문에 this 는 A의 인스턴스가 아닌 전역이 되며 if 문을 만족하게 된다.
그리고 new 가 붙은 생성자 A 를 다시 호출하여 진행한다.
this.value = arg 만 해도 잘 동작하는데 ..
혹시 모를 오류 undefined 나 null 같은걸 방지한거같다.
new 를 붙이지 않으면 전역 -> Scope-Safe Constructor 패턴을 사용하여 new 를 넣어준다.
4. apply/call/bind 호출
this를 특정 객체에 명시적으로 바인딩하는 방법
본질적인 기능은 함수 호출이며, 메소드는 this를 특정 객체에 바인딩만 한다.
apply
- 함수.apply(this 객체 , [인자1, 인자2])
call
- 함수.call(this객체 , 인자1, 인자2)
- apply()와 기능은 같지만 apply()의 두번째 인자에서 배열 형태로 넘긴 것을 각각 하나의 인자로 넘긴다.
bind
bind 메서드는 호출할 함수(greet)에 영구적으로 this 값을 지정합니다. 아래 예제에서는 person 객체가 this로 사용됩니다.
apply() 메소드의 대표적인 용도는 arguments 객체와 같은 유사 배열 객체에 배열 메소드를 사용하는 경우이다. arguments 객체는 배열이 아니기 때문에 slice() 같은 배열의 메소드를 사용할 수 없으나 apply() 메소드를 이용하면 가능하다.
정리
1. 암묵적 this 바인딩
호출시에 자바스크립트 엔진에 의하여 암묵적으로 this 바인딩 된다.
기본적으로 this는 전역객체(Global object)에 바인딩된다.
전역함수 -> 전역객체 this
내부함수 -> 전역객체 this
메소드 -> 호출한 객체 this
new 생성자 함수 -> 생성한 객체 this
new 없는 생성자 함수 -> 전역객체 this
=> Scope-Safe Constructor 패턴으로 new 추가
객체 리터럴 -> x 사용하지않음
2. 명시적 this 바인딩
개발자가 this를 특정 객체에 명시적으로 바인딩하는 방법
apply // myFunc.apply(this 객체 , [인자1, 인자2])
call // myFunc.call(this 객체 , 인자1, 인자2)
bind // var bindFunc = myFunc.bind(this객체)
'JavaScript' 카테고리의 다른 글
19. Object-Oriented Programming 객체지향 프로그래밍 (0) | 2024.07.19 |
---|---|
18. Closure 클로저 (0) | 2024.07.19 |
16. Strict mode (0) | 2024.07.18 |
15. Scope 스코프 (0) | 2024.07.18 |
14. Prototype 프로토타입 (0) | 2024.07.17 |